웹 개발을 하다보면 반드시 마주치게 되는 HTTP(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응답 상태 코드를 살펴보고자 한다. (사실 구글에 매번 검색하는 것이 귀찮아서 포스팅하는 것이기도 하다 ㅎㅎ) 모든 HTTP 응답 코드는 5개의 클래스(분류)로 구분되어지고, 상태 코드는 세자리의 숫자로 표기된다. 그 중 상태 코드의 첫번째 숫자는 응답의 클래스를 정의한다. 아래의 예시 사진에서처럼 4XX는 뒤에서 언급할 "클라언트 오류"라는 클래스 분류를 의미하게 된다. [ HTTP 응답 코드 클래스 ] 1xx : 정보 응답 - 클라이언트의 요청(Request)을 받았으며 프로세스를 계속하는 경우 2xx : 성공 응답 - 클라이언트의 요청(Request)을 성공적으로 받았으며 인식했고 수용한 경우 3xx : Redirecti..